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집값 고점은 아직 멀었습니다

반응형

한경 부동산 채널 <집코노미TV>에서 최근 부동산 이슈를 해설했다. 제목은 '집값 고점이라더니 또 대책 내놓겠다고?'.

정부는 내년부터 입주물량이 급감해 집값과 전세가격이 더 오를 거라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8월 중 추가 부동산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다. 자, 정신병자들의 아무말대잔치는 언제까지 이어질 것인가.

이번에도 규제보단 공급에 주안점을 맞췄다지만, 여기서 우리는 상기해야 한다. 얼마전 정부가 집값 고점 경고를 들먹였다는 사실 말이다. 기사는 이런 모순을 지적함과 동시에 앞으로 전망을 각론의 범위에서 짚어간다.

우선 내년 입주 물량 대폭 감소.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폭감한다.

이런 상황은 매매 가격 뿐 아니라 전세가격 불안 요인이 된다. 특히 전세의 경우 임대차 2법 후폭풍이 빚어지고 있는 중인지라 입주 물량 폭감은 여기에 한 번 더 기름을 끼얹는 격이다.

게다가 분양물량마저 줄었음을 기억할 것. 그동안 재개발, 재건축이 사실상 올스톱이었으므로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면서 분양 못 하거나 미루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무슨 의미인가. 당장 2~3년 뒤 입주할 아파트가 없다는 거다.

이 가운데 정부는 추가 대책의 방점을 공급에 뒀다. 최근에 홍남기가 집값이 고점이다, 추격매수 하지 말아라, 등의 경고를 보냈는데 공급을 하겠다니 제 말을 제가 바꾼 것. 어디 한 두번인가.

일각서 '정부주도하락론'이라고 야유하는 이유이겠다.

정부가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고 공언해놓고 사전청약은 권하는 모순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가격이 떨어질 집을 정부가 나서서 사라고 하고 있는데 전혀 앞뒤가 안 맞는다. 이처럼 정부 헛소리가 공허한 것은 사안이 그만큼 시급하다는 것이겠다.

수도권 위주로 공공택지를 발굴하겠다는 것인데, 2·4 대책에서 발표했다가 LH 사태 때문에 선정이 밀렸던 것들이다. 태릉CC와 과천청사의 경우 주민들의 반대가 너무 심해서 사업 자체가 백지화됐던 바고.

여기에 대체 부지 선정도 함께한다는데, 과연 택지 발굴이 가능할지는 지켜볼 일. 민간분양에 대해서도 사전청약을 신설한다는데, 민간이 호응하려면 어떤 인센티브를 줄 지가 관건이다.

그러나 저들이 래미안, 자이처럼 민간 건설사들이 짓는 아파트에 대해 사전청약이 가능토록 유도할 가능성은 글쎄, 높지 않으리라.

기사가 지적하듯 허허벌판인 택지에서 하는 사전청약도 토지보상 등의 문제로 제때 입주를 못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도심에서 하는 사전청약은 이해관계가 더 복잡할 수밖에 없고. 사전청약을 받아도 아예 입주 못 하는 상황이 언제든 가능하단 얘기.

다시 서울아파트 입주물량 급감을 보면, 정확히 작년 대비 절반 이하 수준이다. 가격이 더 불안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설상가상으로 더 큰 문제는 분양도 못 하고 있단 것인데, 올해 서울에서 4만2000가구 정도는 분양할 것으로 봤으나 시기들이 미뤄지는 단지들이 있었다.

대표적으로 둔촌주공 같은 단지들. 지난해부터 계속 미뤄지고 있다. 이런 단지들의 분양을 하면서 매수수요를 분산시켰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지 못한 것이다.

결국 앞으로가 더 문제가 될 것이다. 이런 사례를 염두에 두고 정부가 이제야 공급 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때가지는 최소 5년 이상 시차가 필요하지 싶다.

또 분양물량 감소. 이는 2년 뒤 입주 물량 부족으로 이어질 텐데, 아파트 준공까지 2년 반~ 3년가량 걸린다는 것을 염두에 둔다면 올해 분양이 잘 이뤄지지 못할 시 2023~2025년까지 중장기적 불안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정도 단기 전망은 머릿 속에 담아두고 현실에 대처하라. 지금 상황은 매우 심각하며, 집 없는 자들 뿐만 아니라 있는 자들도 가만히 있을 때가 아니다.

집값이 고점이라면서 공급대책을 내놓으려는 이유는 지금 집값이 어느 수준으로까지 올라갈 지 가늠해볼 수 있는 바로미터다.

정부는 이미 폭등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집값 폭등의 평등을 향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