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스크

(2)
부자가 되려면 때때로 무모해질 필요가 있다 ​ 이 사람처럼 살라는 게 아니다. 이 사람처럼 살면 조기에 황천길 간다. 이 사람 얘기를 소개한 것은 그 정신을 한 번 배워보라는 얘기다. ​ 누구보다 불굴의 의지로, 다수가 무모하기 짝이 없다고 여긴 길을 우직하게 걷는 것. 처음에는 비난과 힐난과 질시와 조롱이 난무하지만 그 모든 더께를 찢고 나아가는 자. 그런 자가 부자가 된다. ​ 부의 추월차선을 넘긴 자들을 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있으니,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용감하게 걸은 자들이라는 사실이다. 오로지 편안한 길만 가려 하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삶을 추구하다간 그저 월급에만 의존하는 게으른 삶이 주어진다. 모두 자업자득, 제 선택의 산물인 것이다. ​ 여러분이 부자가 되기 위해 제테크를 하고 나름 장고를 거듭해 부동산에 투자하고, 주식을 사..
大도시 40대 평균 순자산이 3억 뿐인 이유 40대에 금융투자를 잘해야 말년이 평화롭다. ​ '금(金)퇴족(노후 준비가 잘된 사람)'이 ​ 될 수 있을지는 ​ 이 시기까지의 노력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 연초 이들의 고민을 담은 '대한민국 40대가 사는법' 보고서를 발간했는데, ​ 한 번쯤 훑어보면 좋을 것 같다. ​ ​ 서울 및 지방 4대 광역시(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 거주하는 ​ 40대 소득자 1000명에게 지난해 11월 설문을 해 ​ 재산상황과 금융투자를 하고 있는지, ​ 노후가 준비돼 있는지 등을 물었다고. ​ 미리 말해 보고서 결론은 이렇다. ​ '세심한 금융투자 없인 편안한 노후도 없다.' ​ 김혜령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 연구위원의 말이다. ​ "40대는 국가경제와 가계경제의 중심이 되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