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직장인으로 사는 게 의외로 괜찮은 이유 출근이 좋다고 말하면, 아마 많은 이들이 조롱 섞인 웃음을 지을 것이다. "당신이 사장이라면 그렇겠죠." 혹은 "출근하는 순간부터 내 인생은 사라진다"고 말할지도 모른다. 현대사회에서 직장은 인간소외의 상징이 되었다. 정해진 시간에 출근하고, 정해진 공간에서 앉아 일하고, 정해진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마치 인간이 아니라 시스템의 부속처럼. 그런데 묻고 싶다. 그런 비판의 언어는 정말 당신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인가, 아니면 피로한 사회 담론의 클리셰에 기댄 반사적 구호에 불과한 것은 아닌가?직장생활은 피곤하다. 그러나 그것은 삶이란 구조 안에서 기능하는 피로다. 인간은 원래부터 게으른 존재가 아니다. 오히려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존재’다. 한나 아렌트는 “행위란 인간 존재의 본질”이라고 쓴.. 더보기 너무 노골적인 20대 공부 유튜버 현실 책장 앞에 서 있다. 배경은 깨끗하다. 스탠드 조명이 얼굴을 부드럽게 비춘다. 책 한 권을 펼쳐놓고, 고개를 끄덕인다. 공부하는 ‘척’이다. 그런데 어딘가 이상하다. 옷은 책과 어울리지 않는다. 너무 짧고, 너무 낮게 파였고, 너무 과하게 끌린다. 집중해야 할 건 책장이 아니라 카메라 앵글이다. 이제 의문은 명확해진다. 과연 이건 공부인가, 혹은 상품인가.요즘 ‘공부 유튜버’라는 이름 아래 기묘한 장면들이 반복된다. 책상 앞에서 생방송을 켜고, 교복이나 가운, 혹은 속살이 노출된 복장으로 ‘공부’하는 모습을 보이는 여성들. 그곳은 더 이상 학습의 공간이 아니라, 시선의 장터다. 여기에 피시방 브이로그, 셀프 캡처, 카메라에 고정된 가슴골이 더해지면 그 콘텐츠는 공부가 아니라 ‘감상’의 대상이 된.. 더보기 베트남 아파트 분양가도 15억이 넘는다 서울 집값이 비싸다는 통념은 일종의 도그마다. 앵무새처럼 반복된다. “헬조선”, “집값 미쳤다”, “이게 나라냐.” 그러나 정작 우리는 그 ‘비싸다’는 말을 어떤 비교를 통해, 어떤 감각을 통해 말하고 있는가. 한국만 바라보는 폐쇄된 시선 속에서 ‘비쌈’은 절대치로 작동한다. 소득 대비 가격이 높으면 무조건 비싸다는 식이다. 하지만 세상은 이미 연결돼 있다. 자본은 국경을 무시하고 흐르고, 외환은 마우스 클릭 한 번으로 넘어간다. 이런 시대에, 집값을 국내 총소득(GNI)만으로 재단하는 건, 오징어 가격을 바닷물의 염도에 따라 재는 격이다.2024년 입주를 시작한 베트남 호치민의 ‘자이' 아파트. 초신축, 180제곱미터(약 55평), 방 4개. 분양가는 원화로 약 15억 원. 베트남의 1인당 .. 더보기 공짜에 중독되면 인생은 끝나는 거다 인생을 우상향시키는 데 필요한 태도는 사실 간단하다. 무언가를 바란다면,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가. 아니, 감수하는 척이라도 할 수 있는가. 이 질문 앞에서 사람은 비로소 성인이 된다.그렇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누가 처음 이 말을 꺼냈는지 알 수 없으나, 이 구절은 경제학 교과서보다 명쾌하다. 자본주의 사회는 정직하다. 손해 보며 베푸는 척하지 않는다. 누가 웃고 있다면, 어딘가에선 누군가 울고 있는 중이다. 한쪽의 과실은 다른 쪽의 희생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누군가의 호의를 의심해야 하는 이유는, 그 호의가 너무 쉬워 보일 때다. 점심이 공짜인 순간은 많지 않다. 있다면 그건 이미 누군가가 계산을 끝마친 자리다. 자신이 계산서를 받지 않았다고 해서, 점심이 무료인.. 더보기 아닌 거 아는데 취업하고 명품 지르는 심리 우리는 모두 한 번쯤 꿈꾸고 살아간다. “저 가방을 내가 한번 들면, 세상은 달라질 거야.” “차를 한 대 사면, 내 인생도 달라질 거야.” 직장인 초년생들이 흔히 마주하는 소비의 함정은 바로 이러한 열망에서 시작된다. 한두 달 치 월급을 모아 명품 가방을 사고, 몇 년 치 월급을 쏟아 차를 장만한다. 대체 왜 그럴까? 명품 가방이나 고급차를 사면 더 잘 사는 것처럼 느껴지고, 그 소유가 곧 성공을 의미하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착각은 결국 자신을 더욱 깊은 함정으로 끌어들인다. 자산 증식은커녕, 자신이 그토록 원하는 ‘성공’을 점점 더 멀리 내다버리는 길로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우리는 흔히 ‘성공’을 눈에 보이는 외적 지표로 치환한다. 이 지표는 주로 물질적인 것들,.. 더보기 일본 직장문화가 한국보다 최악인 이유 일본에서 벌어진 한 기업의 만행은 차라리 중세의 장면을 연상케 한다.실적을 내지 못한 직원에게 알몸 사진을 찍게 하고, 그것을 동료에게 유포하며 모욕을 주는 방식. 그것이 경영이라고 믿는 자들이 만든 '기업 문화'다.회식에 빠졌다고 뺨을 때리고, 교통 위반 벌금까지 직원에게 전가하는 이 모든 행태가 한 회사 안에서 동시에 벌어졌다. 그것도 연봉 1억 원이 넘는 고연봉 기업에서. 높은 연봉은 이토록 처참한 수치심의 보상인가. 아니면, 인격을 팔아넘기는 계약의 전제인가.한국 직장도 그리 녹록한 곳은 아니다. 야근, 갑질, 조직 내 위계와 억압은 여전히 존재한다. 하지만 최소한의 선은 지켜진다. 상사가 부진한 직원에게 알몸 사진을 요구하고, 그것을 유희 삼아 동료들과 공유하는 일은 없다. 인간이 회.. 더보기 요새 취준생들 멘탈 너무 심각해 보인다 이 시대의 취준생들이 뭘 잘못하고 있는지 묻는다면, 정답은 명확하다. '아무것도 안 하면서 모든 것을 기다리는 태도', 바로 그것이다.최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2025년 상반기 취업 지원 실태 조사(1470명 설문)’를 벌인 결과 상반기 입사 지원을 하지 않은 20대가 10명 중 7명이라 한다. 그 이유가 뭔가 했더니, 재학 중이라서? 준비가 덜 돼서? 조건에 맞는 공고가 없어서? 이쯤 되면 기가 막힌다. 일을 안 한 이유를 이렇게 유창하게 나열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이미 태도의 문제다.현실을 직시하자. 지금의 노동시장은 구직자에게 단 한 가지 덕목을 요구한다. 바로 속도감이다. 빨리 들어가서 빨리 익히고 빨리 자기 자리를 잡는 것. 이 단순한 진리를 ‘나는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는.. 더보기 꼭 잘 참는다고 잘 모으는 게 아니다 재테크에 있어 가장 흔한 착각 하나. ‘참으면 언젠가 보상이 온다’는 것. 참아야 부자가 되고, 견뎌야 성공한다는 식의 금욕적 도그마는 이제 일종의 시대정신처럼 유통되고 있다. 유튜브의 파이어족 영상은 말한다. '햄버거 하나 사먹지 않으면 10년 뒤 집 한 채가 생긴다'. 감미로운 헛소리다. 누군가는 이를 꿈이라 부르겠지만, 사실은 체계적인 자기 소외의 다른 이름이다.문제는 그 소외가 자발적이라는 점이다. 사람들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금 이 순간의 삶을 스스로 감옥에 가둔다. 소확행은 무책임이라 치부되고, 여행은 사치로 취급되며, 소비는 곧 패배의 낙인이 된다.이쯤 되면 질문을 던져야 한다. 도대체 무엇을 위해 그렇게 돈을 모으는가? 그 ‘미래’라는 신기루는 과연 오긴 오는가?재테크는 원.. 더보기 이전 1 2 3 4 ··· 2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