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게으른 20대들이 인생 나락가는 전형적 패턴 기억해둘 멘트들. 1. 제대로 성장하려면 어느 분야건 기초부터 하나씩 배우고 차근차근 올라가야 한다. 2. 자존심을 내려놓을 땐 내려놓을 줄 알아야 한다. 3. 인생 한 방 타령하면서 한탕주의에 빠지는 것은 금물이다. 4. 정직하게 노력해서 성장한 친구들을 따라잡으려고 해야 한다. 5. 하는 척만 하면서 20대를 설렁설렁 살다간 빠르게 삶이 비루해진다. 6. 줄곧 천직 타령하며 이것저것 쉽게 건드리는 것은 망하는 지름길이다. 7. 대충 대충하며 살면 진짜 기회가 와도 그 기회를 잡아채지 못한다. 8. 대충하면 계속하는 척만 하다 그만두기 쉽상이다. 9. 진지하게 열심히 헤보고 그만두는 것과 대충하다가 그만두는 것은 천지 차이다. 10. 경험주의라는 말을 신봉하면서 .. 유현준 교수가 "이제 20대는 집 못 산다"고 말한 이유 요새 주목받는 유현준 건축가(홍익대 건축과 교수)에 대한 중앙일보 인터뷰는 중요하다. 현 부동산 시장에 대한 성찰과 2030세대를 향한 깊이 있는 관찰이 엿봉니다. 거두절미하고 문답을 싣는다. 정독하시라. Q : LH 사태 예언이 화제였다. A : LH 내부 일은 잘 모르고, 대충 안다. 사실 '비리 공무원이 있다'는 게 핵심은 아니었다. 'LH가 1~3기 신도시 개발 등으로 50년 넘게 관성적으로 본인들 먹거리 파이를 키워가고 있다'는 게 핵심이었다. 예언도 아니다. Q : 신도시 개발이 본질적인 문제인가. A : 1960~70년대 사람들이 시골에서 도시로 오면서 농지를 택지로 바꾸는 등 신도시 개발이 많았다. 그게 LH 주요업무였다. 그동안 이 일 하던 직원들은 내부에서 요직을 차지했다. 또 .. 자기 집 15억이라며 택시기사 팬 20대 청년 세상 가장 한심한 인간이 이런 놈들. 지가 벌어들여 지가 등기친 것도 아니고 부모 집에 불과한데도 자기 재산인것마냥 으스대는 허접쓰레기들. 이곳에 들어오는 젊은 부린이들은 속으로라도 저 따위 생각 가지고 살면 안 된다. 200프로 돌아온다. 부모가 잘 살든 못 살든 신경쓰지말고 제 힘으로 자산을 일구려고 하라. 그 역량을 키우지 못하는 이상, 그러기 위해 좋은 인간이 되지 않는 이상 그런 인생은 3류 허접일 뿐이다. 겸손하라.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