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압구정현대

(3)
압구정현대아파트가 낡은 썩다리라는 말은 틀렸다 아파트압구정현대아파트의 외관만 보고 낡은 썩다리 구축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시세 얘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내부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를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천양지차의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아래 압구정(구)현대아파트 중대형 평형 실내를 보라. 다 하기 나름이다. ​ ​ 압구정현대아파트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 ​ 대형평형 100억원 시대가 머지 않은 것 같은 이 예감은 무엇인지. ​
1000억원 이상 가진 주식 부자는 이런 데 삽니다 ​ 요약하자면, ​ 1.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가 ​ 92명(37.9%)로 압도적으로 많음. ​ 이들의 보유 주식 자산은 1인 평균 3079억원. ​ 한남동은 48명(19.8%)으로 ​ 1인 평균 자산은 1조 2864억원. ​ 그 다음이 성북동으로 24명(9.9%)를 이루는데, ​ 1인 평균 자산은 4144억원으로 두 번째로 많다. ​ 2. 경기는 당연히 분당. 11명(4.5%)가 ​ 1인 평균 3432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 3. 부산은 단연 해운대구인데, 8명(3.3%)이 ​ 1인 평균 1억888억원을 보유했다. ​ 이 내용은 재벌닷컴이 ​ 지난 8월 말 종가기준으로 ​ 상장사 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보유 주식기준을 정리한 것이다. ​ 빼박 자료라는 얘기. ​ 일반인이 노력으로 범접할 수 ..
입주 25~29년차 실거래 20억 넘는긴 아파트 아ㅍ물론 누락된 것도 ​ 더러 있을 것이다. ​ 감안하고 참고하면 되겠다. ​ 재건축 프리미엄 없는 ​ 실거래가 20억 이상 지역. (재건축 30년한 전이라 조합설립 불가) ​ 건물가치 제로에 오로지 땅값만으로 ​ 20억 이상 실거래 기록한 곳을 살펴보자. ​ 이렇게 살펴보면 ​ 신축아파트 빨이 다 빠지고 ​ 실제 최상급지 구분이 가능하다. ​ 다만 25~29년차가 아예 없는 지역이 ​ 몇 군데 있지만 크게 해당사항 없다는 것. ​ 이런 식으로, ​ 진정한 최상급지(건물가치 뺀 땅값만)를 ​ 추려보면, ​ 강남구 ​ 서초구 ​ 송파구 ​ 용산구 동부이촌동 ​ 용산구 한남동 한강변 ​ 성동구 성수동 한강변 ​ 분당구 수내동 이매동 ​ 정도로 추려진다. ​ 이처럼 재미삼아 부동산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을 만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