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엄마

(6)
어미가 수준이 낮으면 애가 이렇게 고생을 한다 ​ 저녁 11시에 들어오는 자녀가 ​ 한 달에 겨우 11만원이 밥값이 드는 것을 보고 ​ 왜 이렇게 많이 드냐고 ​ 네이트판에 뻘글을 쓰는 것을 보면 ​ 어미의 수준이 보인다. ​ 자녀가 가여워진다. ​ ​ 결국 부모들이 성찰하고 반성해야 한다. ​ 어떤 문제가 보이면 그 문제가 ​ 자기 자신에게서 비롯된 문제는 아닌지를 살펴봐야 한다. ​ 애초에 문제가 아니었는데 ​ 문제로 오해하고 있지는 않은지도 들여다봐야 한다. ​ 대체로 부모가 수준이 낮으면 자녀가 고생하고 가족 전체가 고생을 한다. ​ 가난한 집안의 특징은 ​ 문제의 원인이 부모들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 대체로 인정 못한다는 것이다. ​ 그 원인을 애먼 곳으로 돌리기 때문에 ​ 문제는 곪고 곪아 이내 터지고 만다. ​ 결국 부모의 수준이 높..
용돈 안 준다고 딸이 엄마한테 욕을 하네요 ​ ​ 다들 자녀가 생기면 축복으로 여기겠지만 그 자녀가 저주가 되는 경우가 이런 것이다. 하급지에 산다고 꼭 자녀가 비행하리란 법은 없으나 상급지에 산다고 자녀가 비행을 안 하리란 법도 없다. 부모에게 욕하는 아이는 엄벌로 다스려야겠으나 부모마저 신고하기 일쑤인 패륜의 시대. 대안이 있을까. 제아무리 돈이 많은 집안이라도 이런 문제가 생기면 삶이 지옥이 된다. ​ ​ 차선은 우리 아이가 빌런이 될 확률이 낮은 입지로 가는 것이다. 학군지 말이다. 10대 시절 환경이 차지하는 영향력이 상당함을 안다면 어떻게든 좋은 학군지로 이사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 부모되는 것이란 이다지도 힘든 일이다. ​
딸에게 헌신해온 61세 엄마의 대반전 부부가 가정을 건사하려면 맞벌이가 필수이고, 맞벌이 가구에게 육아는 지옥과도 같으니 시댁이든 친정이든 엄마가 아이를 맡아주는 현상이 일상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결국 이 땅의 엄마들은 끝가지 고생만 하다 가는 것이 불우한 인생패턴이 되어버리고 있는데, 그 가운데 자녀 부부의 몫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결국 부부가 부자가 되어 모친의 노고 없이도 자녀를 건사할 수 있을 만큼의 경제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겠고, 엄마의 도움이 그래도 절실요하다면 그 엄마에게 두둑한 월급을 드릴 수 있는 수준이 되는 것도 인지상정이다. 결국 스스로 잘 살아야 모두에게 이로워진다. 재테크에 모든 것을 무릅써야 하는 이유. ​ PS. ​ 누군가의 헌신을 권리로 여기고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을 결국 죄악이 되어 불행으로 다가오고 만..
모녀관계가 엉망이면 억만금이 있어도 불행하다 ​ ​ ​ ​ ​ ​ ​ ​ ​ ​ ​ ​ ​ 우리 모두 슬프고, 우리 모두 괴롭다. 우리 모두 슬프고 괴롭다면 서로의 마음을 할퀴어서야 하겠는가. 특히 엄마라면. 어떤 순간에서도 부모는 부모여야 한다. 지시, 겁박, 폭력, 강요, 억압은 금물이다. 함께하는 시간만으로 위안이 될 수 있게 보듬어야 한다. 부모가 부모답고 자녀가 자녀다운 관계일 수 있을 때 행복은 정초된다. 억만금이 있어도 모녀 관계가 불행하면 그 삶은 좋은 삶이 아니다. 돈도 중요하지만 관계가 훨씬 더 중요하다. ​ 저 가족이 부디 행복해질 수 있기를. ​
이런 엄마와 딸 관계면 이미 성공한 인생이다 ​ 무슨 말이 필요한가. ​ 어머니에게 전화 한 통 하라. ​ 그리고 고맙다고, 사랑한다고 말씀드려라. ​ 부모님은 지금 이 순간에도 당신을 생각하고 있다. ​ 사랑하는 가족이 건강하다는 사실. ​ 그것만으로도 인생은 충망해진다. ​ 범사에 감사하며, 범사에 겸손할 삶을 살자.
자기 욕망에 취해 아이를 쥐 잡듯이 잡는 엄마 ​ ​ ​ ​ ​ ​ ​ ​ ​ 아이의 욕망 = 엄마의 욕망이 아니다. 저 엄마는 자신의 욕망(자녀를 과학고를 보내고 출세시켜 나를 높이겠다)을 스스럼 없이 드러내고 있다. 그럴 수록 아이는 불행해질 것이다. 엄마의 욕망 때문에 잘 하다가 번아웃이 돼 복구 불능이 되는 사례를 여럿 봤다.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긴 아이가 폭발하여 저항을 멈추지 않는 경우. 일부러 삐뚤어지려고 한달까. 부모 책임이다. 저 엄마는 자신의 욕망을 내려놓고 아이의 욕망에 귀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적절한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 부모-아이 관계도 협상이고 외교전임을 명심하자. 그걸 잘해야 아이도 잘 되고 부부도 잘 되고 가족이 화평해진다. 그게 곧 재테크다. ​ Ps. ​ 아이를 쥐 잡듯이 잡는 것은 투자로 치면 선물옵션에 가깝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