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에 대한 단상

재테크도 골프처럼... 머리 들지 말고 힘 빼야 잘 된다

반응형

골프를 치기 시작하면

프로들이 항상 이 소리를 한다.

"힘을 빼라."

"팔에 힘 주지마라."

"손으로 꽉 쥐지마라."

"헐렁헐렁한 느낌으로 잡아라."

아이언7번이든, 드라이버든

아마츄어들이 볼 때엔

힘을 줘서 팍팍 휘둘러야

잘 쳐질 거 같은데,

실제로는 정반대다.

손에 힘을 풀고

전신을 편안하게 해야

비거리도 더 나간다.

아이언으로 100m 나갈 게

힘을 빼고 스윙하면 150m 숙숙 나가고,

드라이버로 200m 나갈 게

어깨에 힘 빼고 스윙하면,

250m 휵휵 나간다.

장타가 되려면 힘을 빼야 한다.

반대로 힘을 줘보자.

그럼 어찌되나.

대번 삑사리가 난다.

슬라이스와 훅이 난무하고,

수시로 OB가 난다.

민망해진다.

나는 이 힘을 빼라는 소리는

비단 골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자유를 지향하는

우리 모두에게

인생의 명제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

힘을 빼라,

그래야 나아갈 것이다.

이것은 인생의 정언명제 같은 것이다.

힘을 빼면 안 될 일도 잘 된다.

이 말은 어떤 일에

모든 걸 걸지 말라는 소리기도 하다.

모든 걸 걸면 절박해지고

그 절박함은 조바심이 되어

잘 될 거 같은 순간

기어이 삑사리를 내게 만든다.

뭔가 그 절박함이

성공을 이뤄줄 거 같지만 실제론 아니다.

마음에 여유를 가져야 한다.

힘 좀 빼라.

사람이 앞만 볼 것이 아니라,

사이드 미러로 옆도 보고,

백미러로 뒤도 보고,

그래야지 안전하게 나아간다.

맹목적으로 한 가지에 매달리는 순간,

이성적 동물이었던 인간은

정동에 휩싸여 차분함을 잃는다.

그 잃어버린 차분함 때문에

삐걱거리게 된다.

말하자면 궤도 이탈.

오죽하면 故 이병철 회장도,

"자식과 골프는 내 마음대로 안 되더라"고 했겠나.

그러나 그는 이 사실을 경험으로 체득했기에

힘을 줄 댄 주되

뺄 땐 빼는 유연함을 보였다.

그러니 나는 고한다.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불철주야 재테크하는 여러분들아,

꾸준히 나아가되 너무 힘 주진 마라.

마음에 여유가 있어야

모든 일도 잘 풀린다.

부자가 되는 길이란,

가급적 힘을 빼되,

꾸준히 나아가는 것.

그거면 되는 것이다.

성공한 부자들이

외풍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는 이유를

우리는 상기해봐야 한다.

그들은 힘을 빼고

사태에 유연히 대응했다.

아무쪼록,

새로운 한 주 힘내시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