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뭐, 따로 정리해 올리려고 해도 미리 올린 발 빠른 사람들이 있으니 헛웃음이 난다. 그러나 필자가 인정받을 만한 사람이면 괜찮다. 오히려 고개를 끄덕거리게 된다. 자칭 폭등이지만 실제론 시장 상황을 냉철하게 직관, 분석하는 가재붕어개구리님의 아래 글을 보자. 그는 윤 정부의 부동산 방향을 정리하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물론 듣는 자만 들을 것이기에 이렇게 알려줘도 대부분은 원래 하려던 대로 할 것이다. 그 책임은 본인 스스로 져야 한다. 자, 가보자.
--------
앞으로 5년! 인생을 바꿀 엄청난 기회 온다.
(세금 규제완화 + 대규모 공급 추진)
안녕하세요. 폭등이 가붕개 입니다. ^^
윤석열 정부의 부동산 방향은 세금, 대출규제 완화 및 민간 공급 확대 입니다.
그동안 세금 때문에 투자하지 못했던 분들 많으신데요. 앞으로 숨통이 트이겠네요.
상환 능력 되는 분들 LTV 풀어주면 매수하는 분들도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아는 의사선생님이 한달에 2500 네트로 버는데도 대출안해줘서 집을 못사는 웃지못할 상황)
아니 정권 바뀌면 집값이 떨어질 수도 있는데 더 투자 한다고????
저는 엄청난 기회가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가장 핵심은 전세가율과 공급입니다. 당장 정책으로 바꿀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박원순, 문재인 위대하신 업적 )
과거 이명박 정부때 집값 하락을 생각하면서 던지고 전세로 전환하는 사람들도 분명 있을 것입니다. 그때랑은 상황이 많이 다르죠. 왜냐면 이명박 서울시장시절에 공급 판을 깔아놓고 대선으로 연결되어 공급확정까지 진행 했기 때문입니다. (서울 부동산만 놓고보면 사실상 연임한 것)
부동산 전망을 쉽게 하는 방법은 덧셈 뺄셈만 잘하면 됩니다.
매매 -> 전세 = 전세가율 상승 = 투자매력
전세 -> 매매 = 전세가율 하락 = 투자위험
멸실 많음 = 수량부족 -> 가격상승
입주 물량 많음 = 수량 많음 -> 가격하락
돈의 량 많음 = 돈의가치 하락 -> 부동산 상승
원자재 가격상승 = 공급 감소 -> 부동산 상승
일자리 늘어남 -> 수요 증가 = 가격상승
일자리 없어짐 -> 수요 감소 = 가격하락
이런 공식입니다. 참 쉽죠~
지금 매매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했는데도 전세가율이 높다는 것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것을 풀려면 추가 공급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엄청나게 눌려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진퇴양난 이죠.

민간 재건축 재개발 하려면 이주수요로 인해 수량 부족으로 전월세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전월세가 상승하면 수익률이 올라가고 매매가격을 밀어 올리죠.
사업이 진행되려면 먼저 가장 기본인 안전진단부터 통과를 해야겠죠? 그때부터 입주까지 시간은 최소 5년이상 보고 있습니다. 드라마틱하게 잘 됬을 때 이야기 입니다.
난관이 참 많아요. 인플레이션 원자재 상승 + 전쟁리스크로 신규 공급 아파트의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라갈 것입니다.
앞으로 최소 5년이상 엄청난 기회가 있다는 결론입니다. 토지보상도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하네요. 수십조의 대기자금은 부동산으로 들어오겠죠.
양도세 완화는 더 좋은 물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 기회를 줄 것이며, 보유세 완화는 수익률을 극대화 시켜줄 것입니다.
갈아타기 물량으로 일시적으로 매매가격이 조정될 수 있지만 2년 4년 후의 전월세 상승압력을 보고 접근해보세요.
서울 수도권에 들어오려는 수요는 탄탄합니다. 해외 주요 도시랑 비교했을때 서울은 너무나 저렴하죠.
눈치 빠르신 분들은 자기 그릇만큼 주워 담으시면 됩니다.^^
박원순 시장과 문재인 대통령이 공급사업 막고 대출 막아서 지금 눌러놓은 폭탄이 윤석열 정부 임기 내내 고생시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놓고 윤정부 탓 하겠죠. ㄷㄷㄷ
* 투자는 각자 판단하고 본인 스스로 책임임을 말씀 드립니다.^^*

'부동산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 다시 부지런하게 임장 뛰어야 하는 시즌이다 (0) | 2022.03.14 |
---|---|
윤석열 정부는 與172석 뚫고 부동산 규제 완화 가능함 (0) | 2022.03.14 |
분당과 목동 재건축은 이제 날아갈 것이다 (0) | 2022.03.13 |
윤석열은 LTV·DSR을 70~80% 동시 완화해야 한다 (0) | 2022.03.12 |
앞으로도 학군지 인기는 식을 수가 없는 이유 (0)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