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지금은 2006년 판박이 아닙니다. 더 심각합니다.

반응형

때는 2006년 11월 7일.

한 부동산 기사에 이런 댓글이 달려 주목을 끌었던 적이 있다.

"2021년 8월21일 판박이 정책을 시행 중인 미래에서 왔습니다. 쫄지 말고 투자하세요. 폭등하거든요."

지금 상황이 어떠한가.

NH농협은행에 이어 우리은행과 SC제일은행 등 금융권이 부동산 대출을 전면 중단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분노한다.

"남들 다 살 때 '신중하라'는 정부 말만 믿고 기다렸는데, 결국 먼저 대출받아서 집 산 사람만 승자가 됐다. 금융 사다리조차 걷어차였다."

"1금융권에서 대출이 안 된다고 사람들이 집을 안 사겠느냐. 벌써 2금융권이나 다른 대출을 알아보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요사이 내 집 마련하려고 주택담보대출 알아보고 다녔다. 그런데 이게 무슨 봉변이냐. 공급을 막아놓고 부동산 문제 해결이 안 되니 대출까지 막아보겠다는 것 같은데, 결국 나 같은 서민만 피를 보게 된 것 아니냐."

눈 밝은 사람은 지금이 오히려 투자 적기라고 판단한다.

"하다 하다 안되니까 이제는 주택담보대출마저 손을 대겠다는 건데, 다시 말하면 정부로서도 시장 상승세를 잠재울 방법이 없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차라리 지금이라도 투자를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이쯤에서 우린 시계태엽을 거꾸로 감아볼 필요가 있다.

15년 전인 2006년에는 어떠했는지를 말이다.

당시 정부도 주택담보대출을 억제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그 결과는 어떠했던가.

2006년은 3월 판교 분양

3·30 대책

버블세븐

전세대란

수도권 집값 폭등

11·15 대책

등이 이어졌다.

부동산 시장이 미친 듯이 요동쳤다.

올해 부동산 시장이 2006년과 비슷한 인과관계에 의해 움직이고 있다고 여겨지는 이유다.

물론 현재 상황은 훨씬 더 심각해 보인다.

공급 부족이 더 심화했고, 당시와 달리 더 대규모 공급할 택지도 마땅치 않다.

상황이 개선될 변수가 전무한 데다, 내년 대선까지 앞두고 있다.

당시 기준 금리는 4.5% 수준이지만 지금은 0.75% 수준에 불과한 점도 무시못할 팩트다.

이걸 높다고 생각하면 그냥 멍청한 거다.

한은이 올린 금리가 0.25%에 불과한 것을 두고 금리인상에 의한 연쇄 파급 운운하는 것은 경제 원론도 제대로 안 읽어봤거나 어디 눈치를 보는 거라고 간주하면 되겠다.

그렇게 떠드는 전문가가 있다면 걸러내시길.

결론을 말하자.

폭등장은 본격화했다.

바보들에게 놀아나지 말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