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에 대한 단상

책임지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은 돈이 모이지 않지요

반응형

"우리가 삶을 두려워하지만 않는다면 삶은 아주 멋진 것이다. 인생에는 용기와 상상력, 그리고 약간의 돈이 필요하다."

영국의 유명한 희극배우 찰리 채플린의 걸작 <라임라이트>에 나오는 대사입니다.

이 대사에 나오는 '인생'을 '투자'로 바꿔봅시다. 어떻게 되나요.

"우리가 삶을 두려워하지만 않는다면 삶은 아주 멋진 것이다. 투자에는 용기와 상상력, 그리고 약간의 돈이 필요하다."

그렇습니다.

투자에는 용기와 상상력, 그리고 약간의 돈이 필요합니다.

다시 말해 투자를 할 땐 세 가지가 전제돼야 합니다.

첫 째, 리스크를 감당할 용기가 있을 것(용기)

둘 째, 자신의 머리로 생각할 것(상상)

셋 째, 최소한의 공부를 할 것(돈 공부)

그러나 이 세 가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입니다.

예를 들면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투자로 번 돈을 '불로소득'으로 취급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완전한 착각이자 무지의 소산이지요.

투자 수익을 '불로소득'으로 여기는 사람들은 오해하고 있습니다.

일을 한다는 말이 뜻하는 것을요.

공장에서 제품을 만들고 출퇴근하여 사무실에서 엑셀 작업을 하고, 회계 업무를 해야만 일을 하는 게 아닙니다.

눈에 보이는 노동만이 일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생각해보죠.

기업의 CEO는 어떤 노동을 합니까.

그들은 공장에서 나사를 조이지 않습니다.

ZARA 매장에서 직접 옷을 판매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럼 그들은 아무것도 안 하고 돈을 버는 겁니까.

아니지요.

절대로 아니지요.

그들은 그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일을 합니다.

용기와 상상력을 가지고 리스크를 감내하며 판단하는 작업을 말입니다.

영화 <라임라이트>

예컨대 어떤 곳에 어떤 사람을 배치하고, 돈을 어디에 쓰면 기업을 성장시킬 수 있을지 고민합니다.

그렇게 내린 판단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짊어집니다.

그러나 한갓 월급쟁이인 사람들의 상당수는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죠.

리스크를 감수하지 않으면 돈을 못 번다는 것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비즈니스와 투자에 통용되는 가장 기초적인 원칙을 말입니다.

돈을 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노동을 해야 합니다.

남들한테 어디 아파트를 사면 좋을지 찍어달라,

어떤 주식을 사면 오를지 알려달라 따위 질문을 하지 마십시오.

투자에 대한 실패는 오롯한 당신책임입니다.

아무도 대신 책임져 주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위해야 합니다.

어느 정도 투자에 대한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토마 피케티가 <21세기 자본>에서 역설하였듯,

자본수익률 r > g 노동수익률의 공식을 이해한다면

r > g 인 이유는 r에 리스크 감내라는 원천이 포함돼 있기 때문임을 압니다.

투자 수익률이 높은 사람은 월급을 받는 노동자보다 훨씬 큰 리스크를 감내하는 사람이라는 얘기입니다.

여러분은 돈으로 돈을 버는 삶을 추구하시나요.

경제적 자유의 고지에 입성해 파이어족이라는 일하지 않고도 돈을 버는 자유인이 되고 싶나요.

그렇다면 리스크를 감내하십시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고 리스크를 감수하는 사람만이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책임지지 않은 채 부자가 되려고 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