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적자유 자극제

대비 없이 함부로 퇴사하면 폭망할 겁니다

반응형
 
 
 
 
 
 
 
 
 
 
 
 
 
 
 
 
 
 
 
 
 
 
 
 
 
 
 
 
 
 
 
 
 
 
 
 

문제는 2030세대 상당수가 퇴사하고 걍 아무 생각없이 백수로 있는 상황이다.

나태와 게으름 같은 개념이 아니라 단검 하나 들고 거인 앞에 선 느낌으로 머리가 새하얗게 되어 집 안에 틀어박혀 있다.

2030세대 실업률이 지금 어느 정도인지는 통계로 확인해보라.

한국의 일본화는 이미 현재진행형이다.

정말로 퇴사 후 별 일 없이 살려면 자가 아파트 한 채와 최소 3억원 이상의 금융 자산은 있어야 하며, 결혼 안 하고 산다면 하루 4시간 이하로 일하고 노동 + 금융 소득으로 생계 유지가 가능해야 할 것이다.

그게 아니고서야 어지간해선 회사 때려치우는 시기는 미루면 미룰 수록 이롭다. 회사의 월급 파이프라인을 우습게 알다간 99.99%가 후회하고 만다.

경제적 자유를 우습게 봐선 안 되며 차곡차곡 머니 파이프라인을 늘려 금융 소득 > 노동 소득의 안정화가 이뤄지고 금융 소득이 노동 소득의 최소 2배 이상이 되는 구조를 구축해야만 한다.

그러고선 퇴사를 고민하라.

PS.

쉽게 일확천금을 노렸다간 아래처럼 될 수 있다.

아무런 대비책 없이 퇴사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짓도 드물다. 하다 못해 다른 일을 찾더라도 이미 이직이 확정된 상황에서 퇴사하는 게 기본이다.

 
 
 
 
 
 
 
 
 
 
 
 
 
 
 
 
 
 
 
 
 
 
 
 
 
 
 
 
 
 
 
 
 
 
 
 
 
 
 
 
 
 

진정으로 가진 자의 특징은 박세리처럼 쓰는 데 인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쓰는 데 인색하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이고 인품이 차곡차곡 쌓인다. 그러나 가지지 못한 자의 특징은 쓰는 데 늘 인색하며 영수증에 얽매인다는 것이다. 쓰는데 인색하니 사람들이 눈치를 보며 일부는 불편해한다. 결국 열심히 일하고 잘 벌어서 많이 가진 자가 되는 것이 좋은 사람이 되는 지름길이다. 문사철 교양서적 꾸준히 읽는다고 마음 그릇이 커지는 게 아니며 내가 당장 가진 자산이 많아지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마음 그릇을 키우는 방법이다. 하루하루 재테크하는 여러분은 그 마음 그릇을 키우고 있다고 여기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