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집값이 폭등했지만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

반응형

집값이 올랐지만 마음이 편치 않은 세상. 지금 우리가 당면한 현실입니다. 왜일까요.

부동산 폭등으로 나라 전체 자산 규모가 늘었지만, 체감하는 현실은 부유해진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반대입니다. 더 고달파졌습니다.

부동산 소유 여부에 따른 국민 간 자산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했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 소유자들 사이에서도 1급지, 2급지, 3급지 이하 아파트간 자산 양극화가 뚜렷해졌습니다. 거기에 문재인 정부의 가렴주구 과세 폭탄 때문에 허리가 휘청입니다. 

유주택자와 무주택자간 자산 간극은 말 다 한 것입니다. 집 있는 사람은 인플레이션에 방어하며 후일을 도모할 수 있으나 무주택자는 나날이 가난해지는 길 밖에 없습니다. '존버'(존나게 버티기)도 집 있는자들이나 가능한 겁니다.

부동산 소유자들 사이에서도 양극화는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강남 핵심지 20억원 이상 아파트를 가진 사람과, 강북 끄트머리 중저가 아파트를 가진 사람은 상승 규모 자체가 다르지요.

비율 문제가 아닙니다. 20억원 이상 아파트가 10% 오르면 22억원입니다. 6억원 아파트가 10% 오르면 6천만원 오른 6억 6천만원이 될 뿐입니다.

범위를 더 넓혀보죠. 한국은행과 통계청의 '2020년 국민대차대조표'입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민 순자산은 1경7722조2000억원입니다. 1년 전보다 6.6%(1093조9000억원) 늘어났습니다.

국민대차대조표는 우리나라 가계와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들의 자산 및 부채, 순자산 등의 기록입니다. 국부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자료이지요.

이 기간 가장 크게 늘어난 자산은 토지(917조원)와 건설자산(177조7000억원) 등 부동산입니다. 부동산 자산 상승분(1094조7000억원)은 전체 자산 증가분(1093조9000억원)을 아예 앞지르고 말았습니다.

그만큼 부동산 쏠림현상이 심해졌다는 거 아니겠습니까. 문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가계자산 양극화가 격심해졌다는 소리죠.

국회 예산정책처가 공개한 '분위별 자산·소득 분포 보고서'를 봐도 이 현상은 뚜렷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 간 자산격차는 2011~2015년까지 축소됐습니다.

그러던 것이 2016년부터 다시 확대됐죠. 수도권의 주택가격지수는 2011년 96.5에서 2019년 104.0으로 7.5포인트 상승, 반면에 비수도권의 주택가격지수는 2011년 91.9에서 2019년 98.0으로 6.1포인트 올랐습니다.

집값은 한동안, 꽤 오랜기간 더 오를 겁니다. 그럴 수록 부동산 보유 여부에 따른 자산 양극화는 더욱 심해지겠지요. 부의 대물림, 아파트 세습, 빈부 격차 심화. 이 정부가 초래한 파국적 결말입니다.

대한민국은 이제야 비로소 글로벌 대도시에서 쉽게 마주치곤 하는 극심한 양극화 사회로 이행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저는 자본주의 사회의 말로는 중세 계급화 사회로의 퇴행일지도 모른다고 가끔 생각합니다.

 

그게 실제 현실로 벌어지고 있으니 아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