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들어 최초로 부동산 정책이 원점으로 돌아간 게 있지요. 재건축 거주 의무화 폐지 얘기입니다. 정부가 재건축 조합원 2년 거주 의무화 규제를 철회한 것인데, 이로 인한 후폭풍을 정부는 예상했을지 모르겠습니다. 당연히 다른 악법들에 대한 개정 요구도 봇물처럼 터져 나올 터였으니까요.
실제로 그렇다고 합니다. 임대차 3법도 개정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정부가 세입자 피해를 우려로 재건축 실거주 의무화를 폐기했으니, 애당초 세입자 보호라는 선의의 명분을 내세웠으나 그 취지가 무식해진 임대차법도 현실에 맞게 수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 주장을 외면할까요, 수용할까요.
대선을 앞두고 있고 야권 주자들의 관련 주장이 힘을 받는 만큼 논쟁은 심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전월세 시장의 혼란은 더 가중될 것이라고 봐야겠지요. 이미 전세 급멸, 월세 및 전세 가격 폭등이 심해진 터고, 이 여파를 원상복구하는 것은 불가능해진 현실이지만요.
현재 임대차법이 시행된 지 1년이 더 됐습니다.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등의 최악의 시장 규제 정책으로 전세 시장은 역대급으로 불안한 지경입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2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지난주보다 0.02%p 오른 0.13%를 기록했지요. 6개월 만에 최대 상승률입니다. 지난해 7월 임대차법 시행 이후 11개월간 전국의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2.92% 증가했고요.
전세물량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년에 임대차법이 시행된 것은 최악의 수였습니다. 자살골이었달까요. 정부가 시중에 충분히 매물이 나오고 있는지 검토를 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이를 통해 공급을 확충해야 하건만 그런 작업 없이 계약 갱신청구권과 전월세 상한제를 밀어붙였습니다.
올 하반기 전세시장은 지금보다 더 불안할 수밖에 없습니다. 폭염이 물러나고 선선한 가을 무렵이 되면 거래량은 더 늘어날 것이고, 전세 불안은 극심해질 테죠. 전문가들은 임대차법 전면 폐지가 힘들다면 미세 수정이라도 해야 한다는데, 글쎄요.
저는 전면 폐지돼야 한다고 봅니다. 미세하게 고쳐봤자 규제의 역설은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어요. 애초 시장을 난장판으로 만든 정책이었는데 미세 수정한다고 나아집니까.
이게 맞냐 저게 맞냐 혼란만 가중될 겁니다. 대상 주택을 선별해야 한다더니, 임대인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니 이런 정부 눈치 보는 제언 아닌 제언은 접어둡시다.
전월세 시장 정상화를 위해서는 임대차법을 원천 무효화하고 그로 인해 빚어진 피해를 어떻게든 정부가 보상해야 할 것입니다. 문제는 이 폭주 정권은 그럴 생각도, 그럴 여지도 없다는 사실이지요.
또한 전면 폐지를 한다고 해도 이미 대세는 기울어졌습니다. 임대차법 이외 온갖 악법이 이중 삼중으로 중층 규제를 하고 있는 터라 초장기 상승장을 막는덴 역부족입니다.
임대차 법과 더불어 각종 규제 완화가 동시에 시행될 때라야 시일이 흐른 후 점차로 진정 국면이 올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는 사이 '차라리 집을 사자'며 매매 수요는 들끓고, 열차는 속도를 늦추지 않을 테지요.
'부동산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원론과 싸우니 집값이 폭등하는 겁니다 (3) | 2021.07.23 |
---|---|
맘카페 회원들이 요새 피눈물 쏟는 이유 (0) | 2021.07.23 |
세입자 쫒겨나고 집주인 생이별 하는 지옥서 직시할 것들 (1) | 2021.07.17 |
일산 아파트 매수를 포기한 무주택자 지인의 후회 (3) | 2021.07.15 |
3기 신도시 농간에 넘어가니 무주택자인 거다 (2)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