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내년 집값은 지금보다 더 오를 수밖에 없어 보임...

반응형

조선일보에서

이런 기사를 오늘 오후 냈는데,

어제 헤럴드경제 기사의 판박이다.

헤럴드경제 기사가 맞았던 것이다.

종합지 1위 언론사가 그대로 쓸 정도면.

읽어보자.

-----------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최근 집값 상승폭이 둔화하고 있지만 민간 연구소들은 내년 집값이 더 오를 것이란 전망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정부 역시 표면적으로는 "집값이 안정될 것"이라고 하지만, 내년 집값이 오를 것이란 가정 하에 세입 예산을 편성했다. 온갖 규제에도 불구하고 당장은 집값이 떨어지기 어렵다는 데 민간과 공공 모두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10일 자체 보고서를 통해 "내년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률은 3.7%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건설산업연구원도 4일 "내년 전국과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이 각각 2%, 3%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산연은 전세 가격도 올해와 비슷하게 6.5%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역시 지난달 "내년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으로 투자수요가 집중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이런 전망은 정부 예측과도 다르지 않다. 기획재정부는 내년 수도권 집값은 5.1%, 지방은 3.5% 각각 상승할 것을 가정하고 2022년 세입 예산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 이는 국책 연구기관인 국토연구원의 전망치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내년 집값은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서울 인기 지역 아파트 매물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내년 초 대출 총량 규제가 초기화되면 수요가 회복돼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거래가 되살아난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집값 하락이 경제에 미치는 충격 때문에 정부 입장에서도 무리하게 가격을 떨어뜨리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난달 기준 주택담보대출 규모는 774조원 규모로 신용대출까지 합하면 1057조원에 달한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집값의 급격한 하락은 프로젝트 파이낸싱, 자산유동화증권이 연동돼 있는 부동산 금융의 부실을 초래해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도 지난 7월 집값 하락이 소비와 고용에 악영향을 준다는 보고서를 냈다. 한 시중은행 부동산 전문가는 "내년엔 대선도 있는 만큼, 집값 하락보다는 상승률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여당 입장에선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

오늘 아침에 보니까,

유투버 '아포유'도

내년 상반기를 '폭등장'으로 전망했다.

올해보다 내년 상반기가 더 무서울 거라는 얘기.

지금 매맷가와 전셋가 갭이 이토록 좁아지는 것은,

부동산을 마치 주식 시장 바라보듯이 판단하는,

부린이들의 전망과 달리,

초장기 폭등장의 연장 및 연속을 뜻하는 것임을,

적어도 내 블로그에 들락날락하는 분들이라면,

알고 있어야 한다.

파는 자는 망하고,

버티는 자는 웃는다.

아주 간단한 진리.

선동당하지 마라.

지금은 하락장 아니다.

연장된 폭등장이며,

연장의 시기는 엿가락처럼

늘어날 수밖에 없게 됐다.

PS.

정부는 이미 폭등장을 염두에 두고,

모든 시나리오를 짜는 중이다.

이들은 일찌감치 '집값 폭등의 평등'을 실현시키고 있을 뿐이다.

그걸 알면 적어도 손해보고 살진 않을 것이다.

반면에,

모르고 살면 한 없이 하강하는 삶에 자맥질할 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