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보유세 폭증은 왜 집값을 한없이 밀어올리는가

728x90
반응형

문 정부 들어 급증한 보유세(종부세+ 재산세) 때문에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시죠. 여기 더 스트레스받을 일이 있네요. 어쩌겠습니까. 참아야지요.

국민의 소득 증가 수준을 보유세 증가 수준이 크게 뛰어넘었습니다. 원인은 다들 아시잖아요. 부동산 정책 실패에 따른 집값 급등에 세제 강화, 공시가격 인상 등.

국회예산정책처가 최근 추산한 자료를 보죠. 올해 종합부동산세 주택분 납부총액은 6조530억원입니다. 재산세 주택분 납부총액은 5조9822억원에 달하네요. 두 항목을 합하면 보유세로 국민이 지는 부담은 12조352억원입니다. 장난 아니네요.

문 정부 출범 초기를 봅시다. 2017년에는 종부세 3878억원, 재산세 4조580억원을 합쳐 주택 보유세는 4조4458억원이었습니다. 4년 사이에 얼마나 늘어난 겁니까. 무려 세 배가 폭증했습니다. 미친 거죠.

담세 능력을 초과하는 수준입니다. 담세 능력이란 조세 부담 능력을 말하죠. 휘청이는 가구 많을 거예요. 통계청 데이터를 보죠. 4인 가구 기준 월평균 소득은 2017년 563만275원에서 2021년 709만4205원으로 26% 늘어나는 데 그쳤는데, 같은 기간 보유세 증가폭은 171%입니다. 가구 소득 증가폭의 여섯 배입니다.

보유세 부담이 폭증한 것은 정부가 조장한 집값 폭등 탓이지죠. 여기에 공시가격 같은 정부의 인위적인 정책 훼손에 따른 영향도 적잖습니다. 이걸 얘기하면 더 열이 받는데, 2017년만 해도 종부세 납부 총액은 재산세의 10%에도 못 미쳤어요. 그게 올해 처음으로 재산세를 뛰어넘고 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올해 1월까지 지난 4년간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 인상폭은 72.8%이죠. 같은 기간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폭(18.3%)의 네 배 수준입니다.

보유세 폭증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선진국에선 이런 식으로 안 해요. 미실현 소득이잖아요. 그냥 시세가 올라서 그런 건데 왜 과세를 합니까. 가뜩이나 정부가 올린 집값이잖습니까. 이미 대통령 각하께서도 시인했고요. 할 말이 없다고.

잘 봐요. 근로소득세와 양도소득세, 법인세 등 대부분 세금은 발생 수입에 대해 과세합니다. 세율이 높아도 과세 시점에는 대부분 납세자가 해당 세금을 낼 돈을 갖고 있어요.

하지만 주택 보유세는 아닙니다. 아직 실현도 안 된 수익에 과세하지요. 이렇게 주택 가격이 올랐다고 매년 가렴주구하면 소유자들은 어떻게 대처하겠습니까.

 

뻔한 일이지요. 그 집값을 집값에 반영시킬 수밖에요. 그리고 세입자에게 임대료 부담이 늘어나겠지요. 조세의 전가 및 귀착입니다. 경제 원론에서 나오는 기초 원리입니다.

 

현 정부는 보유세 대폭 인하 없이는 평화로운 정권 이양이 힘들지 모릅니다. 심해도 너무 심하거든요. 그러나 기존 정책 기조는 그대로 이어간다고 했죠. 두고 보세요. 죄과를 톡톡히 치를 겁니다.

일단은 그 보유세 폭증분이 고스란히 집값으로 반영될 테고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