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단상

올해 대구 집값이 덜 오르는 이유에서 깨달을 것들

반응형

부동산 시장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공급이다. 공급이 부족하면 집값은 오르고, 공급이 충분하면 집값은 안정화된다.

지금 서울 및 수도권이 불장인 것은 정부가 공급을 틀어막은 탓이고, 이 추세는 단기에 그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어디 서울 뿐인가. 인천과 경기도, 세종, 충남 청약 시장은 경쟁률이 '몇십 대 일'이 기본이 된지 오래다.

그런데 올해 이곳만큼은 다르다. 대구 말이다. 올해 아파트 청약 시장에서 연이어 미달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무슨 이유에서일까.

대구는 현재 아파트 시장이 다른 도시에 비해 안정화됐다. 이유는 간단하다. 지난 4년간 12만 가구에 달하는 새 아파트가 쏟아졌기 때문이다.

집값 안정에는 공급만한 특효약이 없다는 사실을 대구가 제대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데이터로 확인해보자.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 사이 대구지역 민간분양 아파트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8.5대 1.

이건 상당히 내려간 수치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33.9대 1이었기 때문이다.

당첨 커트라인도 많이 낮아졌다. 올해 평균 23점인데, 지난해 31점, 2019년 39점에서 크게 떨어졌다.

매수 의지와 자금 여력이 있으면 큰 어려움 없이 새로운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도 그렇다. 몇몇 아파트는 미분양 사태까지 발생하는 곳이 현재 대구의 모습이다.

4월 말 기준 대구의 미분양 주택은 모두 897호인데, 3월 153호 대비 486.3% 급증한 수치다. 2019년 12월 1790호 이후 최대다.

올해 대구는 신규 공급이 충분한 상황이다. 직방 조사 결과 대구시에서 올해 분양될 아파트는 총 3만 777가구. 작년엔 3만 5253가구, 2019년엔 2만 9100여 가구였다.

최근 4년동안 12만여 가구의 아파트가 분영에 나선 것이다. 대구 전체 주택 수가 100만여호인 것을 고려한다면, 최근 4년동안 무려 10%가 넘는 주택이 새로운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사정이 이러하니 대구 부동산 시장은 상대적으로 안정화되고 있다.

지난 2017년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4년 1개월 동안 대구 아파트 중위가격은 27.8%가 올랐는데, 이는 동기간 서울 중위 아파트 상승률(64.6%), 전국 중위 아파트 상승률(58.2%)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대구는 이러한 공급 과잉의 현실에 더해 분양가가 20%가량 높아진 상황에서 매수자들의 수요가 예전만하지 않다는 점도 중요한 집값 안정의 사유로 작용하고 있다.

종합하자면, 정부가 서울 및 수도권 집값을 잡는 가장 정석적인 방법은 시장에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일 만한 것이 현재로선 없다.

재건축, 재개발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주도로 새 아파트 공급이 충분히 이뤄진다는 전제와 더불어 다주택자 양도세 완화를 통한 시장으로의 매물 유도, 또다른 거래세인 취등록세 완화 등을 통한 거래 활성화가 동반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현 정부는 그럴 만한 의지도, 노력도 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초장기 급등장세가 펼쳐지고 있는 현 상황이 그것을 보여주고 있다.

반응형